안녕하세요 행정언어로 대표님의 사업을 돕는 행정사 최의란입니다.
지금 이 칼럼을 보고 계시다면 G-pass 인증에 대해 도움을 받고 싶은 사업주님이실텐데요.
사업하시면서 해외 바이어들이나 공공기관 입찰 때 “우리 회사가 믿을 만한 곳이다”라는 걸 증명하기가 쉽지 않으셨죠?
G-Pass 인증이 바로 그런 고민을 해결해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조달청에서 “이 회사는 국내에서 이미 검증받았고, 해외 시장에 나가도 충분히 경쟁력 있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겁니다.
국내 나라장터에서 입찰 참여하신 경험이 있으시고, 기술력이나 신뢰성이 어느 정도 입증된 중소·중견기업이라면 신청하실 수 있어요.
특히 유엔이나 세계은행 같은 국제기구, 해외 정부기관 조달시장에 공급사로 등록하시거나 입찰에 참여하실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 인증이 꼭 필요합니다.
해외 마케팅을 확대하거나 수출시장을 본격적으로 개척하실 때도 마찬가지고요.
Gpass 인증을 받으면 우선 해외 전시회나 바이어 상담회, 수출 컨소시엄 같은 정부 지원사업에 신청하실 때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 입찰할 때도 수출 관련 가산점이 붙고, G-Pass 기업 전용 혜택으로 추가 가점이나 컨설팅도 받으실 수 있어요.
혁신제품으로 해외 실증에 성공하셨거나 수출 노력을 인정받은 기업이라면 지정 심사 자체를 면제받기도 합니다.
수출 관련 교육 이수하신 기업은 최대 5점까지 가점이 확대되고요.
지정기간이 끝나도 3년 안에 재신청하시면 현장실사 대신 맞춤형 컨설팅으로 진행되니 부담도 덜하죠.
등급도 A, B, C로 나뉘어서 해외 입찰제안서 제출하시거나 해외인증 취득하시고, 국제 벤더 등록이나 수출실적 따라 차등 우대를 받습니다.
그렇다면 G-PASS인증을 받기 위해서 어떤 요건과 서류가 필요할까요?
이번 칼럼에서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칼럼을 읽어보시고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아래 채널을 통해 문의주셔도 좋습니다.
상담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G-PASS 인증 요건 및 필요서류
요건과 필요서류를 하나씩 정리해드리겠습니다.
G-pass 인증요건
국내 조달시장(나라장터)에 경쟁입찰 참가자격이 등록된 중소·중견기업
최근 3년간의 수출실적 또는 해외조달시장 진출 노력 중 유리한 기준 적용
- A등급: 최근 3년간 수출누계액 500만 달러 이상 또는 해외조달시장 계약·공로
- B등급: 10만~500만 달러 또는 GSA MAS 등록, 해외 입찰, 해외 벤더 등록, 해외 인증 등.
- C등급: 수출누계액 10만 달러 미만.
필요 서류
- G-PASS 기업 지정 신청서 및 신청기업 기초자료
- 사업자등록증
- 최근 3개년 수출실적 확인자료
- 해외인증, 특허권, 국제산업재산권 등 보유 증명서(해당시)
- 해외 마케팅자료(홍보자료, 브로셔, 홈페이지 등)
- 최근 3년간 해외전시회·수출지원사업 참가실적 증빙
- 수출업무 담당자 명단 및 근로자 명부
- 기타 가점 관련 증명서(벤처창업, 조달문화상품 등 가점 해당시)
실력있는 행정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이유
실제로 G-Pass 인증 준비하시다 보면 생각보다 복잡한 부분들이 많으세요.
제가 그동안 여러 기업 도와드리면서 자주 봤던 문제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장 많이 겪으시는 게 서류 준비 과정입니다.
조달청에서는 제출된 증빙서류만 보고 심사하거든요.
그래서 실적이나 사업자료 중에 하나라도 빠지면 그게 바로 감점으로 이어집니다.
최근 3개년 수출실적이나 해외조달시장 진출 성과 같은 걸 정확하게 입증할 자료를 준비하는 게 생각보다 손이 많이 갑니다.
특히 해외 벤더등록이나 해외인증 같은 진출실적을 증빙할 때는 기술적인 설명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요.
영문 자료도 많고요. 어떤 서류가 필수고 어떤 게 가점용인지, 우리 회사 상황에 맞춰서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판단하시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조달청이나 수출진흥협회 같은 행정기관과 소통하는 것도 부담이세요.
보완 요구가 들어오면 뭘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시고, 현장실태조사 같은 추가자료 요청이 오면 신속하게 대응하기가 어렵습니다.
평가기준도 자꾸 바뀌거든요. 최근에 점수 기준이 조정됐고 수출노력 가점 같은 것도 새로 생겼는데, 이런 변화를 다 따라가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올림 행정사합동사무소에선 이렇게 도와드립니다.
제가 행정사로서 도와드릴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이런 것들입니다.
우선 조달청의 요구서류와 평가기준을 꼼꼼히 분석해서 대표님 회사에 맞는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드립니다.
그리고 대표님 회사의 실제 현황과 사례를 보고, 어떤 증빙자료를 확보해야 하는지 컨설팅해드려요.
수출실적, 해외마케팅 활동, 해외공급사 등록 이런 것들 말이죠.
국제인증이나 해외특허 같은 기술자료는 복잡합니다.
영문 자료도 많고요. 이런 걸 번역하고 작성하는 것부터, 전체 서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까지 다 지원해드립니다.
행정기관과의 소통도 제가 대리인으로서 진행해드립니다.
서류 보완 요구가 들어오면 제가 바로 파악해서 보완안이랑 추가 입증자료를 신속하게 준비해드립니다.
등급 산정 기준이나 최근에 바뀐 제도, 가점 항목 같은 것도 대표님 회사 상황에 맞춰서 설명해드리고요.
이런 점들을 다른 곳과 비교해보시고,
G-PASS 인증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다면 아래 채널을 통하여 연락주셔도 좋습니다.
대표님의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도와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행정사 최의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